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헷갈리는 맞춤법32

자주 틀리는 맞춤법 07 [헷갈리는 맞춤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주 틀리는 맞춤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빛을 발하다 관용구 제 능력이나 값어치를 드러내다. 지금처럼 열심히 나아가다 보면 언젠간 빛을 발하게 될거야. 빛을 바라다 (X) (2) 방방곡곡(坊坊曲曲) 어느 한 군데도 빼놓지 않은 모든 곳 전국 방방곡곡 방방곳곳 (X) (3) 삼촌 아버지의 형제 중에서 아버지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을 부를 때 작은삼촌, 작은아버지, 숙부라고 한다. (아버지의 형은 큰삼촌, 큰아버지, 백부) 삼춘 (X) (5) 애들아/얘들아 '애'는 '아이'의 준말이고 '얘'는 '이 아이'가 줄어든 말. 누군가를 부르는 경우, 말하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관형사 '이'가 들어간 '이 아이'의 .. 2021. 5. 25.
가운뎃점, 따옴표, 괄호, 문장 부호 정리 [헷갈리는 맞춤법] 안녕하세요! 헷갈리는 맞춤법입니다🤓 오늘은 문장 부호의 바른 쓰임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뒤로 갈수록 헷갈리는 부분이 많으니 예문을 참고하여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관련글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 올바른 사용법 [헷갈리는 맞춤법] 안녕하세요. 헷갈리는 맞춤법입니다. 오늘은 문장 부호의 주요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를 정리해 봤어요. 천천히 읽으면서 몰랐던 부분은 꼭 익히고 넘어 siwolwol.tistory.com 문장 부호의 띄어쓰기 [헷갈리는 맞춤법] 안녕하세요! 헷갈리는 맞춤법입니다🤓 오늘은 문장 부호를 바르게 쓰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려고 합니다. 문장 부호의 이름과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볼 거예요! ✔️쌍점(:) (1)표제 siwolwol... 2021. 5. 21.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 올바른 사용법 [헷갈리는 맞춤법] 안녕하세요. 헷갈리는 맞춤법입니다. 오늘은 문장 부호의 주요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를 정리해 봤어요. 천천히 읽으면서 몰랐던 부분은 꼭 익히고 넘어가세요! 마침표 (.) (period) ‘온점’이라는 용어도 허용.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사용. 1.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마침표를 모두 씁니다. 예) 2021.5.16. (O) 2021.5.16 (X) 2. 용언의 명사형으로 끝나는 문장, 명사로 끝나는 문장,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쓰지 않는 것도 허용) 예) 민지가 방을 치웠음. (원칙) 민지가 방을 치웠음 (허용) 방 치우기. (원칙) 방 치우기 (허용) 그는 “방부터 치우자.” 라고 .. 2021. 5. 16.
텐데 / 터인데 띄어쓰기 [헷갈리는 맞춤법] 안녕하세요. 헷갈리는 맞춤법입니다. 오늘은 의존 명사 ‘터’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아주 간단하니까 슥 읽어보세요! 이제껏 ‘텐데’를 띄어 써야 한다는 걸 모르고 있다가 며칠 전에서야 알게 되었네요🥲 ‘터’ 의존 명사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1. ‘예정’이나 ‘추측’, ‘의지’의 뜻을 나타내는 말. 내일 갈 터이다. 2. ‘처지’나 ‘형편’의 뜻을 나타내는 말 그는 자기 앞가림도 못하는 터에 남 걱정을 한다. *의존 명사 ‘터’ + 서술격 조사 ‘이다’ = ‘터이다’ ‘터이다’가 ‘테다’로 줄기도 한다. 예문 이번엔 기필코 범인을 잡을 테다(터이다). 아마 나 없이도 잘 해낼 테야(터이야). 세 시까지 집에 갈 테니(터이니) 준비하고 있어라. ‘텐데’ (터인데) 예문 10분만 일찍 출발했으.. 2021. 5. 14.
반응형